본문 바로가기

C57

switch switch 문에 사용될 변수로는 반드시 정수 데이터를 보관하는 변수여야 합니다. 다시말해 '변수' 부분에 들어가는 변수들의 타입은 char, short, int, long 중의 하나여야 합니다. 만약 input 이 float 이나 double 이라면 컴파일시 오류가 발생되게 됩니다. '값' 에 위치하는 것들이 무조건 상수 이여야 한다는 것입니다. 만약 '값' 부분에 변수들이 오게된다면 오류 switch 문이 효과적으로 처리되기 위해서는 case 의 '값' 들의 크기가 그다지 크지 않아야 하고, '값' 들이 순차적으로 정렬되어 있고, 그 '값' 끼리의 차이가 크지 않다면최고로 효율적인 switch 문을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. switch (/* 변수 */) { case /* 값1 */: // 명령들; .. 2020. 7. 31.
if 성적표 합.평균.grade ABCDE #include void main(void) { int kor = 0; int eng = 0; int mth = 0; int total = 0; int avg = 0; char grd = 0; printf("kor:"); scanf("%d", &kor); printf("eng:"); scanf("%d", &eng); printf("mth:"); scanf("%d", &mth); total = kor + eng + mth; avg = total / 3; if (avg>=90) { grd = 'A'; } else if (avg=80) { grd = 'B'; } else if (avg = 70) { grd = 'C'; } else if (avg = 60) { gr.. 2020. 7. 31.
숫자 세개 입력받은 뒤 홀수 짝수 #define _CRT_SECURE_NO_WARNINGS #include void main(void) { int num1 = 0; int num2 = 0; int num3 = 0; printf("enter the num1:"); scanf("%d", &num1); printf("enter the num2:"); scanf("%d", &num2); printf("enter the num3:"); scanf("%d", &num3); if (num1 % 2 == 0) { printf("num1 is even number.\n"); } else { printf("num1 is odd number.\n"); } if (num2 % 2 == 0) { printf("num2 is even number.\n"); } .. 2020. 7. 31.
숫자 두개 입력받은 후 계산기 #include void main(void) { int num1 = 0; int num2 = 0; printf("enter the num1: "); scanf("%d", &num1); printf("enter the num2: "); scanf("%d", &num2); printf("%d + %d = %d\n", num1, num2, num1 + num2); printf("%d - %d = %d\n", num1, num2, num1 - num2); printf("%d * %d = %d\n", num1, num2, num1 * num2); printf("%d / %d = %d\n", num1, num2, num1 / num2); } 2020. 7. 31.
0731 증감연산자 increment ++ 전위prefix 후위postfix //이진수 //비트연산자 int num = 10; int n = num++; printf ("n:%d\n", n); 3번째줄에서 n의값은 ? : 10. num이 다시 나올 때 11이 됨 int num = 10; int n = ++num; printf ("n:%d\n", n); 3번째줄에서 n의값은 ? : 11. 2020. 7. 31.
error : 입력하라는 값에 맞는 값 입력하지 않으면 에러뜸 1. 두번째 scanf에 %c 앞에 스페이스바 공간 넣어야 되는 이유: 첫번째 num 값 입력이후에 엔터 누르게 되면 그 엔터가 두번째 값 ch로 인식되어버림. 그래서 값을 입력하지 못하고 바로 printf ch값: 으로 넘어가버림. 그래서 %c 앞에 스페이스바 공간 넣어주는것 2. 두번째 ch 값에 문자열을 입력하면 마지막 세번째에서 num2 값을 입력하는거 안뜸. - 문자를 입력해야되는데 문자열을 입력해서 오류난 것임. => 입력하라는 대로 입력할 것 2020. 7. 30.
두 숫자 입력 후 비교 #include void main() { int num1 = 0; int num2 = 0; printf("enter num1:"); scanf("%d", &num1); printf("enter num2:"); scanf("%d", &num2); if (num1 > num2) { printf("num1>num2"); } else if (num1 < num2) { printf("num1 2020. 7. 30.
if num==10 #include void main(void) { int num1 = 0; printf("enter the num:"); scanf("%d", &num1); if (num1 == 10) { printf("Corrrect number"); } else { printf("Wrong number"); } } 2020. 7. 30.
0730 c언어 변수 2020. 7. 30.
0729 printf 한 프로젝트내에 main() 두개 있으면 안됨. -> 제외할 프로젝트 우측 클릭 - 프로젝트에서 제외 클릭 2020. 7. 29.
배열 array 총합 #include int main() { int arr[5]; int sum = 0; int i; for(i = 0; i < 5; i++) { scanf("%d ", &arr[i]); sum += arr[i]; } printf("%d", sum); return 0; } 2020. 7. 22.
자료형(type) 소수(double) 정수 int 문자 char 변수작성규칙 : 1. 알파벳이나 _로 시작 2. 숫자로 시작할 경우 앞에 _ 사용 : int _2pm; 2020. 7. 22.
컴파일 컴파일러 컴파일 : 프로그램(소스코드)을 기계어로 번역 컴파일러: 컴파일 해주는 프로그램 원시프로그램 or 소스코드 =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한 프로그램 C코드도 소스코드 일종 컴파일과정 거쳐 생성한 기계어 코드 = 목적프로그램 2020. 7. 21.
값 입력받은 후 1부터 그 값까지 합 출력 int main() { int sum = 0; int i = 1; int j; scanf("%d", &j); while(i 2020. 7. 18.
구구단 for, while 둘 다 사용 #include int main() { int i = 1; int a; scanf("%d", &a); while(i < 10) { printf("%d X %d = %d\n", a, i, a * i); i++; } return 0; } int main() { int i; int a; scanf("%d", &a); for(i = 1; i < 10; i++) { printf("%d X %i = %d\n",a, i, a * i); } return 0; } 2020. 7. 18.
비트연산자 #include int main() { unsigned char input; // 0000 0011 unsigned char b = 6; // 0000 0110 scanf("%hhu", &input); unsigned char c = input & b; unsigned char d = input | b; unsigned char e = input ^ b; unsigned char f = ~ input; c = input & b; d = input | b; e = input ^ b; f = ~ input; printf("%d %d %d %d", c, d , e, f); return 0; } 2020. 7. 15.
Q.printf("나머지 : "); printf("a % b = %d", a % b);% 1개만 써도 결과가 나오는데 1개만 써도 되는건가요? 하경인(goorm)19. 07. 18. 오후 12:12 안녕하세요. 구름입니다. printf에서 %출력은 % 다음에 오는 문자에 따라 유형을 지정하여 값을 입력받는다는 것을 기억하실 겁니다. 예를 들어 printf("%d", 2); 라고 입력한 뒤 실행한다면 2가 출력되는 것처럼 말이죠. 그런데 이 %는 % 뒤에 받는 형식이 지정되지 않는 문자가 오면 % 뒤의 문자를 그대로 출력한다는 규칙을 갖고 있습니다. %d는 정수, %f는 실수를 받는 등 형식이 지정되어 있지만 %b는 아무 형식도 지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printf("a % b"); 가 "a % b"로 정상 출력되는 것입니다. 만약 이 코드를 printf("a % d"); 로 변경한다면 "a % d"로 출력되는 것이 아니라 "a (쓰레기값)"으.. 2020. 7. 12.